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물류 분야 논문경진대회, 시스템 개선의 여지를 찾아 가치로 만들자
    돌파공모전 2024. 5. 28. 02:08

     

    논문 형식을 경쟁으로 익혀볼 기회

     

     

    논문 형식을 평가 요소로 내건 공모전은 일단 익숙하지 않는 지원자들에게는 굉장한 장벽이긴 합니다. 이 장벽은 사실 부담만 극복한다면 그다지 어려운 게 아님을 알아차릴 수 있어요. 그저 익숙하지 않을 뿐 결코 어려운 형식이 아닙니다. 주제는 물류로 일상에서 늘 접하고 있는 내용이죠.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논문경진대회는 수상작 주제를 공개하므로 당해 주제를 선정할 때 어떤 식으로 수많은 물류 분야 중 상대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을 요소를 고를 수 있는지 팁을 제공합니다.

     

     

    반드시 과년도 물류 환경과 주제를 연관해 분석해보고, 당해 학술 분야 혹은 산업 영역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를 비교 분석을 통한 방식으로 선택해야 해요. 막연히 물류 시스템에 대한 관심을 투영해 주제를 선정할 경우, 과년도 논문 심사에서 경쟁력을 인정 받지 못한 주제와 맞물리거나 유사한 내용을 선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죠.

     

     

    당해 물류 이슈를 추려보고, 그중 자신이 해당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룰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접근 방법입니다. 논문 형식은 논문 검색 사이트에서 자신이 기술하고 싶은 분야의 물류를 주제어로 입력해 간단히 확인할 수 있어요. 논문 형식은 평가의 기본 요소이므로 익숙하지 않다면 여러 논문의 초록을 보고 결론으로 논의를 이끌어 가는 방법을 익히는 데 주안점을 두세요. 마감까지 시일이 충분해 수정을 거듭할 여유는 있으니 일단 논문 형식을 알아보며 물류 전반에 대한 지식을 쌓아보세요. 

     

    참고 자료

     

    콜드체인을 포럼 주제로 다뤘던 작년에는 수상작에 콜드체인을 주제로 포함하고 있는 논문이 포진하고 있는데, 이러한 정황은 대다수의 공모전에 적용할 수 있어요. 일종의 주최측 관심도를 반영하는 구조입니다. 올해는 철도 물류, 탄소배출 절감 등이 주제로 등장한 점으로 미뤄 이에 대한 지식이 있거나 준비할 요량이 있는 지원자는 선택의 어려움을 조금 덜어낼 수 있겠어요. 물론 그에 대한 관련성을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이슈에 대한 주최측의 수용성 정도를 가늠할 수 있을 따름이죠. 주제 선정에 어려움을 겪는 지원자는 이러한 정황 정보를 활용해보세요!      

     

     

    최근 철도 물류 관련 정부 공모 사업에서 "철도 차량 가용성 향상을 위한 AI 융합형 통합정비 메타버스 플랫폼"을 선정했습니다. 철도, 인공지능, 메타버스, 탄소절감 등을 연결한 물류 기술과 시스템을 논문 주제로 선정하는 것이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는 전략일 수 있어요. 이처럼 정보를 먼저 탐색하며 평가자들이 환영할 만한 내용을 찾아내는 게 중요합니다.

     

    주제의 방대함

     

    기업의 현황도 참고해야 해요. 삼성SDS는 생성형AI로 하이퍼 오토메이션을 구현해 물동량과 물류비 계산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있어요. 대외 변수에 영향을 받는 물류 환경을 머신러닝으로 예측해 대안을 찾아내는 기술도 논문 주제의 한축을 차지할 시의성은 충분하죠.  CJ대한통운은 미국 특정 지역에 특화한 콜드체인 물류센터를 구축합니다. 관련 정보는 무궁무진하니 검색은 필수입니다.

     

    물류학회 연구기관에서 주제 관련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고, 새로운 기술을 물류 시스템 개선에 적용해보며 가치를 발굴할 수 있습니다.     

     

    수상작은 총 10편이에요.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으로 입상에 성공할 경우, 성취감은 당연하고, 기업 입사 또는 대학원 진학에 무척 유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목표가 성취라면 논문을 작성하는 경험을 비롯해 일상에 편의를 제공하는 물류 시스템과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는 기회로 이번 물류 분야 논문경진대회를 활용해보길 바랍니다.

     

    수상작은 총 10편

     

     

    팀으로 도전할 수 있고, 팀의 인원 제한도 없으니 분업을 통한 효율적인 도전도 가능해요. 아이데이션은 다수가 머리를 맞대고 궁리할 때 새로운 국면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요. 또한, 가이드라인을 참고해 흥미로운 물류 분야를 체계적으로 알아보며 전문성의 기틀을 다져볼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자랑해공모